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
Tags
- 웨딩박람회
- 드라마리뷰
- 부산
- 연말정산
- 연말정산간소화서비스
- 벚꽃관광지
- 임신
- 벚꽃
- 연말정산기간
- irp세액공제
- 연말정산하는법
- 벚꽃명소
- 연말정산모의계산
- 전남친
- 연말정산환급금
- 웨딩드레스
- 육아휴직지원금
- 연봉계산기
- 블로그수익화
- 웨딩플레너
- 출산지원금
- 이별후유증
- IRP
- 스드메
- 출산
- 연말정산간소화
- 전여친
- 티스로리애드센스
- 국민행복카드
- 블로그수익
Archives
- Today
- Total
Insight Hub(인사이드 허브)
전라도 출산 장려금 나오는 도시 TOP 5 지원금 확대 본문
728x90
반응형
SMALL
전라남도 출산장려금 상위 도시
- 강진군: 자녀 한 명당 총 5,040만 원
- 출생 수와 관계없이 자녀 한 명당 지원
- 매월 60만 원씩 7년(84개월) 동안 분할 지급
- 강진사랑 상품권으로 지급되어 지역 경제 활성화에도 기여
- 고흥군: 첫째 아이 기준 총 1,080만 원
- 매월 30만 원씩 3년 동안 분할 지급
- 10년 후 인구 5만 명 목표로 파격적인 인구 유입 정책 실시
- 진도군: 첫째 아이 기준 총 1,000만 원
- 출생 시 300만 원 지급 후 매년 7년간 100만 원씩 추가 지급
- 지급 기간을 9년에서 7년으로 단축하고 금액 상향
- 보성군: 첫째 아이 기준 총 600만 원
- 매월 25만 원씩 2년 동안 분할 지급
- 2023년부터 지급 금액을 대폭 증가
- 순천시, 광양시, 영광군, 완도군: 첫째 아이 기준 총 500만 원
기타 지역 출산장려금 정책
- 김제시: 첫째 아이 800만 원부터 다섯째 아이 이상 1,800만 원까지 차등 지급
- 영광군: 최대 3,500만 원까지 양육비 제공, 결혼장려금 500만원 별도 지급
- 의성군: 출산 시 100만 원 일시 지급 후 60개월 동안 매달 30만 원 지원 (총 1,900만 원)
기업의 출산장려금 정책
최근 기업들도 출산장려금 정책에 동참하고 있습니다:
- 부영그룹: 임직원 자녀 70명에게 1억 원씩 총 70억 원 출산장려금 지급
- 삼천리: 출산 임직원에게 출산장려금 1,000만 원 지급
- 한국항공우주산업(KAI): 첫째와 둘째 각 1,000만 원, 셋째 3,000만 원 지급
전라도의 출산장려금 정책은 도시마다 다양한 지원 금액과 방식을 제공하고 있습니다. 주요 도시들의 출산장려금 정책을 살펴보겠습니다.
강진군
- 지원 금액: 자녀 한 명당 총 5,040만 원
- 지급 방법: 매월 60만 원씩 7년(84개월) 동안 분할 지급
- 특징: 전국에서 가장 높은 금액을 지원하는 지자체
나주시
- 지원 금액:
- 첫째아: 300만원
- 둘째아: 500만원
- 셋째아 이상: 1,000만원
- 지급 방법: 6개월 간격으로 분할 지급
- 2024년부터 변경된 지원 방식:
- 출산장려금(현금): 첫째아 100만원, 둘째아 200만원, 셋째아 이상 300만원
- 출산육아지원금(지역화폐): 첫째아 200만원, 둘째아 300만원, 셋째아 이상 700만원
구례군
- 지원 금액:
- 첫째아: 130만 원
- 둘째아: 220만 원
- 셋째아: 1,000만원
- 넷째아: 1,500만원
- 다섯째아: 2,000만원
- 여섯째아 이상: 2,500만원
- 지급 방법: 첫째와 둘째는 일시금, 셋째 이상은 연도별로 분할 지급
전라남도 전체
전라남도와 22개 시·군이 2024년부터 새로운 출생수당 정책을 시행합니다:
- 지원 금액: 매월 20만원 (도와 시·군이 각각 10만 원씩 부담)
- 지급 기간: 18년 동안
- 특징: 전국 최고액 수준의 지원으로, 정부 수당과 지자체 장려금을 합하면 최대 3억 7천만 원까지 받을 수 있음
신청 방법
대부분의 도시에서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신청할 수 있습니다:
- 온라인: 정부 24 웹사이트를 통해 신청
- 방문: 해당 지역의 읍·면사무소 또는 동 주민센터에서 신청
- 신청 기한: 대체로 출생신고일로부터 90일 이내
이러한 출산장려금 정책들은 전라도의 인구 감소 문제를 해결하고 출산을 장려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입니다.
728x90
반응형
LIST
'생활꿀팁!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025년 부산광역시 '출산 지원금' 지원사업 안내 (22) | 2025.03.06 |
---|---|
경상도 출산 장려금 지원 확대(꿀팁!) (16) | 2025.03.05 |
대중교통(버스, 지하철, 시외버스) 환승 및 가격 할인 받는 방법 (41) | 2025.03.03 |
2025년 가볼 만한 국내 여행지 TOP 10 (26) | 2025.03.02 |
1919년 ' 3·1 운동 ' 대한민국의 역사 그리고 유관순 열사 (38) | 2025.03.01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