Insight Hub(인사이드 허브)

대중교통(버스, 지하철, 시외버스) 환승 및 가격 할인 받는 방법 본문

생활꿀팁!

대중교통(버스, 지하철, 시외버스) 환승 및 가격 할인 받는 방법

zozo6295 2025. 3. 3. 08:30
728x90
반응형
SMALL

대중교통을 이용하는 사람들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, 버스와 지하철의 환승 횟수 제한 할인 카드 종류를 지역별로 정리했습니다.

 

1. 지역별 환승 횟수 및 시간

  • 서울
    • 하루 최대 4회까지 환승 가능(같은 노선 환승 불가).
    • 환승 시간: 하차 후 30분 이내(오후 9시~오전 7시에는 60분으로 연장)

서울과 수도권의 대중교통 환승 시스템에 대해 더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.

환승 횟수와 시간제한

  • 최대 환승 횟수: 4회
  • 총 이용 가능 교통수단: 5개(버스와 지하철 조합)
  • 환승 시간제한:
    • 일반 시간대: 하차 후 30분 이내
    • 야간 시간대(오후 9시 ~ 오전 7시): 하차 후 60분 이내

환승 규칙

  • 버스와 지하철을 번갈아 이용해야 환승 혜택 적용
  • 같은 교통수단 연속 이용 시 환승 불인정:
    • 지하철 → 지하철 → 지하철
    • 버스 → 버스 → 버스 → 버스 → 버스

요금 정보 (2025년 2월 기준)

  • 기본요금:
    • 버스(시내버스): 1,500원
    • 지하철: 1,550원
  • 환승 요금:
    • 일반(성인): 기존 무료에서 50원으로 변경
    • 어린이 및 청소년: 무료 유지

  • 대전
    • 최대 3회까지 환승 가능.
    • 배차 간격에 따라 환승 시간이 달라짐(15분 이하: 30분, 그 이상: 60분)
  • 요금 정보 (2024년 1월 1일 기준):
    • 시내버스: 1,500원 (일반)
    • 도시철도: 1,550원 (일반)
    • 어린이, 청소년 요금: 동결 (버스 - 어린이 350원, 청소년 750원 / 도시철도 - 어린이 550원, 청소년 880원)
  • 환승 요금:
    • 일반: 50원 추가
    • 어린이, 청소년: 무료

  • 광주·대구
    • 환승 횟수 제한 없음
  • 부산
    • 최대 2회까지 환승 가능

버스 요금

  • 일반 시내버스: 1,550원 (교통카드 기준)
  • 좌석버스: 2,050원
  • 심야 일반버스: 1,950원
  • 심야 좌석버스: 2,450원

도시철도(지하철) 요금

  • 기본요금: 1,450원 (1구간 기준)

환승 정책

  • 환승 시간: 하차 후 30분 이내
  • 환승 횟수: 최대 2회까지 가능

특별 할인

  • 13세 미만 초등학생: 교통카드 이용 시 무료
  • 청소년: 요금 인상 없이 동결

추가 정보

  • 현금으로 결제 시 100원 추가 요금 발생
  • 2025년 2월 현재 기준으로 이 요금 체계가 유지되고 있습니다.

  • 충청권(대전·세종·청주·공주)
    • 최대 3회까지 환승 가능.
    • 최초 하차 후 60분 이내에 환승 가능
  1. 통합환승요금체계 도입:
    • 2024년 8월 26일부터 대전, 세종, 청주, 공주 4개 도시에서 시행
    • BRT(간선급행버스체계), 시내버스, 도시철도를 이용해 최대 3회까지 환승 가능
    • 도시 간 이동 시 추가 교통비 부담 없음
  2. 세종시 시내버스 무료화:
    • 2025년부터 전면 무료화 예정
    • 연간 예상 소요 예산: 약 253억 원
    • 시외·고속버스, 셔클(수요응답형 버스)은 제외
  3. 노선 확대:
    • 대전-세종 간 B2노선이 대전 유성구 장대삼거리까지 연장 예정
    • 세종-공주 간 광역 BRT 노선 신설 예정
    • 인근 도시 연결 광역버스 노선 5개 신설 계획

2025년 대중교통 정책 변경 예정 사항 (전국 주요 도시 적용)

  • 환승 할인 확대:
    • 대상 교통수단: 시내버스, 마을버스, BRT, 시외버스, 지하철
    • 환승 시간 연장: 주간 90분, 야간(21:00~05:00) 120분
    • 시행 시기: 2025년 6월부터
  • 복지 할인 강화:
    • 대상 확대: 노인, 장애인, 기초생활수급자, 다자녀 가구
    • 노인, 장애인 할인율: 70%로 상향
    • 시행 시기: 2025년 4월부터
  • 디지털화된 대중교통 서비스:
    • 모바일 교통카드 도입: 2025년 7월부터 순차 적용
    • AI 기반 교통 정보 제공 앱: '교통 365', '내 손 안의 대중교통'
    • 디지털 표지판 설치: 2025년 12월까지 완료 예

2. 대중교통 할인 카드 종류

  • T-Money 카드 (서울 및 수도권)
    • 버스와 지하철 간 환승 시 할인 적용.
  • Hanaro Card (부산)
    • 부산 지역 전용 교통카드로 버스, 지하철 간 환승 할인 제공.
  • MyBi 카드 (대구)
    • 대구 지역 전용으로 무제한 환승 정책에 적합.
  • 충청권 통합 교통카드
    • 대전·세종·청주·공주 간 통합환승체계에서 사용 가능하며, 추가 요금 없이 간편하게 이동 가능

3. 수도권 대중교통 이용 실태

  • 서울 시민은 평균 하루에 대중교통을 약 2.14회 이용하며, 평균적으로 1.32회 환승
  • 경기와 인천에서는 버스 이용 비율이 더 높으며, 서울은 지하철 이용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음
  • 출퇴근 시간에는 특정 노선과 정류장에서 승차 및 환승이 집중됨(예: 잠실광역환승센터)

4. 추가 정보: 환승 요금 및 시간 정책

  • 기본요금 이후의 추가 요금은 이동 거리와 교통수단에 따라 발생.
  • 최근 수도권에서는 하차 후 재탑승 시 적용되는 무료 환승 시간이 기존 10분에서 15분으로 연장
728x90
반응형
LIST